PMP 22 애자일 프로젝트 성과 측정
프로젝트 진행사항 모니터링하기
- PO > 프로젝트의 진행사항을 모니터링 ; 남은 업무양 / 이전 스프린트에서의 남은양과 비교
- 스프린트 리뷰마다, 진행하는 게 맞다
- 프로젝트 완료일정을 예측 / 모든이해관계자가 이런 정보에 접근 가능해야
- 칸반보드
- 번다운 차트 ; 스토리 포인트 차트 / ideal 라인을 그리고 / 실제 리뷰 값을 기록 > 예측
- 번아웃 차트 ;
- 팀 속도 ; 이터레이션 당 수용량 / 이터레이션 당 소화하는 스토리포인트
- 초반에는 속도를 신뢰할 수 X / 하지만 지나면서 안정화 / plateu
- 완료일정 계산 ; 스토리양 / 팀 속도 X 이터레이션길이
- 모니터링 스프린트 프로그레스
- 개발팀의 역할 / 데일리 스크럼에 포함되어야 / 스프린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계산
- 스프린트 보드 > 투명성을 유지 / 번다운차트 , 스프린목표 또는 칸반을 사용
애자일의 획득 가치 관리
- 원가 차이 = EV - AC / 일정차이 = EV - PV
- CPI =EV / AC (지출 효율) / SPI = EV / PV (일정 효율)
- EAC = BAC / CPI / ETC = EAC - AC
- TCPI = (BAC-EV)/(BAC-AC) ; To complete performance index
TCPI = (BAC -EV)/(EAC-AC)
- 애자일은 금액 대신 스토리 포인트를 사용
애자일 프로젝트의 회계
- 프로젝트의 경제 모델을 따라감
- Smaller Chunks of a larger Project
- 작은 단위의 일은 less risky
- Intermittent Release and Value ;
- MVP ; 미니멀 Viable Product
- 인크리멘탈 펀딩 > 인크리멘탈 ROI ; biz usage in chunks
- KPI ; 작업률 / 남은량 / 예상 완료일 / 예상 잔여 비용
- Predictve life ; 범위 일정 비용 등 베이스라인에 의해 산출
- Agiel ; Getting things done에 포커싱 / Likelihood of targets
애자일 프로젝트의 측정법
- 애자일은 레귤러 베이스로 작업이 완료됨
- 프로젝트 팀은 예측/의사결정에 활용
- 애자일 팀 측정 결과
- 가치는 결과물 / 예상결과물이 아니다
- 최대 몇 주 단위의 예측만으로 제한하는 게 좋음
- 그래야 결과를 제공하기 편함
- Visual Display of Progress
- 번다운 번업 차트 / 인포메이션 레디에이터 /
- Feature Chart ;
팀 속도
- 이터레이션 당 수용량 / 스토리포인트가 단위
- 초기에는 불분명 / 점점 안정화 ; 지속 측정할 것
- 완료시기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 점진적 구체화 progressive elaboration
- 정보 접근가능서이 높아질수록 계획이 더 자주 일어난다
- 작은 인크리먼트 단위로 꾸준히 지속됨
- 계획 / 추정치 / 리스크 / 디자인 / 테스트 시나리오 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