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 9 프로젝트 스케줄 관리
PMBOK 가이드에서는 6장 내용
프로젝트 일정 관리의 트렌드와 새로운 방식들
- 작은 프로젝트는 싱글 프로세스를 갖는다 ; 활동 정의 / 순서 / 듀레이션 측정 / 일정 모델 생성
- 지식/리스크/부가가치 활동을 고려해야 함 -> 일정에 반영되야함
- 백로그를 통한 반복적 일정 운영
- 적응형 환경에서 사용 / Rolling wave planning / 사용자 스토리와 제품 백로그 /
복수의 팀이 작업할 수 있으며, 겹치지 않게 해야한다 time-boxed duration / 점층적 밸류 제공
- 칸반 시스템 WIP ; Work in Progress
- 린 매뉴팩처링 ; 가능한 팀에게 백로그가 넘어감
- Tailoring Schedule Management Process
- LC 접근법 ; 가장 적합한 LC 를 선택한다
- 자원 가용성 ; 자원이 어떻게 듀레이션에 영향을 주는 지
- 프로젝트 차원 ; 물류 복잡성 불확실성 신규성 등 물류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
- 기술 지원 ; 개발/기록/전송/저장할 수 있는 프로젝트 일정 모델이 있어야 함
적응형 환경에서 고려사항
- 짧은 반복 주기 - 스프린트 ; 2-4주 / 빠른 피드백 제공 / 백로그를 우선화함 / 사용자 스토리 /
- 스크럼 마스터 ; 서번트 리더십, 적응형 환경을 이해함
- WIP - To do -> in progress -> Done 등의 칸반보드가 있어야 함
- 제한조건 이론 ; Theory of Constraint ; 가장 제약인 조건을 찾아서 -> 개선한다
- 백로그(프로덕트오너) -> 성취가능성에 따라 스토리 선택 -> 스프린트(1-4주) -> 스크럼미팅(매일 15분정도)
-> Deliverable/스프린트 검토 + 스프린트 retrospective(이건 프로덕트 팀에서만 함)
일정 관리 계획 만들기
- 인풋 ; 헌장 / PM 계획 / EFF / OPA
- T&T ; 전문가 판단 / 데이터 분석 / 회의
- 아웃풋 ; 일정 관리 계획
- 어떤 EEF가 영향을 주는가 ; 조직문화와 구조 / 팀자원 및 물리적자원가용성/ SW / 커머셜 DB
- 일정 관리 계획 요소는 어떤 게 있는가?
- 프로젝트 일정 모델 / 정확도 / 측정단위(일/월..) / 프로젝트 절차 링크 / 어떻게 유지할 수 있는가?
관리 한계점 / 성과 측정 규칙 / 레포팅 양식
프로젝트 활동 정의하기 / 활동 리스트르 만드는 일
- WBS를 바탕으로 -> 분해해서 업무 패키지를 식별
- 활동 목록 ; 수립하고 측정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됨
- 활동 속성 / 마일스톤 리스트
- 인풋 ; PM 계획 / EEF / OPA
- T&T ; 전문가 판단 / 분해 / 롤링 웨이브 계획 / 회의
- 아웃풋 ; 활동 리스트 / 활동 속성 / 마일스톤 리스트 / 변경 요구사항 / PM 계획
- 프로젝트 워크 vs 프로젝트 매니저 워크 -> 뒤에거는 PM이 해야하는 일을 뜻함
- 프로세스 계획 + 활동 시퀀스 / 조달 시간 계획 / 내외부 이벤트 정렬 /
- 프로젝트 활동 분해하기 ; 8/80 규칙 : 8-80시간 정도가 휴리스틱한 일이 됨 /
- 분해하기 위해 필요한 인풋 : 범위 베이스라인 / EEF / OPA
- 컴포넌트 계획하기
- Control Accounts ; WBS의 마커와 같음 -> 관리 컨트롤 포인트 / 범위-,비용,일정 등
- 패키지 플래닝 ; 모든 결정
Rolling Wave Plannig ; 연동계획 ; 임박한 업무는 디테일하게 / 멀리 있는 업무는 하이레벨에서
- 점진적인 구체화 중 하나 / 가장중요한 일에 집중하게 됨
- Phase Gate Plaanning / 마일스톤= Phase까지 계획하고, 그 다음에 다시 계획
- 적응형 환경과 연동계획
- 스프린트 백로그 플래닝 -> 모든 사이클마다 Deliverable
Activity List 활동계획 만들기 ; WBS처럼 Activity Identifier가 있음 / 업무 범위 기술서가 있음
- 템플릿 ; 히스토리 인포 / OPA / 미리 설계된 폼 또는 계획
- 액티비티 어트리뷰트 ; 이름, 설명, ID, WBS identifier, 관계. 리드 & 래그,리소스, 부과된일정, 제한조건과 가정, 부가정보
- Effort & Project Acitivity ;
- LOE(Level of Effort) ; 레포팅 예산처리 등 부가적인 활동
- Discrete effort ; 프로젝트 범위에 직접적인 활동들
-Apoportioned Effort ; PM의 일 / QA 변경제어활동 커뮤니케이션 ; biz value를 지원하는 활동들
Milostone List ;
- 지속시간 같은 건 없음 / 자원 할당 없음
- 마일스톤 차트 ; UP 삼각형 = 게획, Down 삼각형 = 실제 , 라인= 게획된 듀레이션
Sequencing Activity List
- 컴퓨터 드리븐 ; PMIS를 사용
- 매뉴얼 프로세스 ; 작은 프로젝트에서 사용
- BLended 접근 ; 두가지 방법을 합쳐서 사용
- 인풋 : PM 계획 / 프로젝트 문서 / EEF / OPA
- T&T : 선후행동형법 Precedence diagramming method /
의존관계 결정 Dependency determination & Itegration/ 리드 앤 래그 / PMIS
- 아웃풋 : 프로젝트 일정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 프로젝트 문서 업데이트
- 의존성 Determination ; Mandatory 하드로직/ Discretionary 소프트로직/ External / Internal
- Precedence Diagramming Method 선후행도형법 (Start/Finish->Start/Finish 그리는법)
Network Diagram ; 어떻게 프로젝트 워크를 비주얼하는가?
- Precedence Diagram Method ; PDM
- 노드 안에 액티비티 / 화살표 : 업무 플로우
- AON ; Acitivity on Node
리드와 래그 고려하기 ; 리드는 마이너스 / 래그는 플러스
- Work package에 추가되는 값 ;
- 리드는 가속화시킴 / 오버랩 만듦
Activity Duration 계산하기
- 요구되는 정확도에 따라, detail이 달라질 것 / 액티비티 리스트, 요구사항, 어트리뷰트/ 자원 Capability /OPA
- 인풋 : PM 계획, 프로젝트 문서, EEF, OPA
- T&T : 전문가 판단, 아날로그 측정, 파라메트릭 측정, Three-point 측정, 바텀업 측정, 데이터 분석, 의사결정, 회의
- 아웃풋 ; 듀레이션 측정, 산정 근거, 프로젝트 다뮤컨트 업데이트
- Duration Estimates 만들기
- Task Idefitied -> Sequencing -> Resource Indentified -> Duration estimated ; 이것의 반복
- 고려사항
- Laws of Deminishing returns ; 수확체감의 법칙
- 자원의 숫자가 항상 듀레이션을 줄이지 않음 / 기술발전 / 학습 곡선 / 스태프의 동기 - 파킨슨법칙.학생증후군
- 의사결정 기술
- 투표 / 피스트 파이브 -> 손가락을 통해서 확신여부를 나타내느 법
- Estimates에 포함되는 사항 ; Range / 목표일 대비 % / 산정근거 (근거,제한조건,Range,confidence 리스크)
Analogy Estimate; 유사산정 ; 활동들간의 유사기간을 찾아 구하는 법
- 신뢰도가 높지 않음 / 빠르고 저렴함 / 과거의 신뢰가 가는 정보 필요
Prometric Estimate ; 모수 산정 ; 파라미터 + 알고리즘
- 듀레이션과 Efforrt; 듀레이션 = 액티비티가 걸리는 시간 / Effort는 노동에 지불가능한 타임
(ex 고급 개발자가 저급보다 짧은 시간에 끝내지만 돈은 더 많이 들 수 있다)
Three Point Estimate ; 3점 산정 ; Optimistic, Most Likely, Pessimistic 경우 3가지의 평균으로 측정
- PERT 측정 ; Program Evalustion & Review Technique ; ML에 4 가중치를 곱해서 가중평균 측정
-> 베타 분포 라고도 불림
- 3점산정은 초긍정 또는 초회의적인 수치에 가중치가 몰리게 됨 / PERT는 그 영향도를 줄임
Bottom UP Esmiates ; 상향식 산정 ;
- Work Package는 여러 활동들로 구성 ; 모든 패키지 업무를 산정하여 합함
- 다른 접근 방식보다 오래 걸림 / 엄청난 정확도의 WBS를 가져야 함 / 가장 신뢰도가 높음
Reserve Time ; 예비시간
- 일정의 불확실성을 반영함 / 식별된 잠재 위험에 대한 듀레이션
- 일정 퍼센트로서 반영 / 시간초과 등의 예비상황에 사용
- 스케줄 베이스라인에 포함되지 않음
프로젝트 스케줄 작성하기 ;
- 활동 정의 -> 순서 -> 듀레이션 -> 자원 파악 -> 활동 간 관계파악 이후에 가능
- 인풋 ; PM 계획 / 프로젝트 문서 / 동의서 / EEF / OPA
- T&T ; 일정 네트워크 분석 / Critical Path Method / 데이터 분석 / 자원 최적화 / 리드와 래그 / PMIS / 애자일계획
- 아웃풋 ; 스케줄 베이스라인, 프로젝트 스케줄, 스케줄 데이터, 프로젝트 캘린더, 변경점, PM 문서와 계획 업데이트,
프로젝트 제약조건과 가정 ; 업무가 실현되는 시기에 발동
- 날씨, 시장이 열리는 조건, 정부 규제, 산업 규제, 자원 조달에 따른 시간대
- 프로젝트 제약조건 종류
- MUST START ON / MUST FINISH ON /
- START NO EARLIER THAN / NO LATER THAN
- FINISH NO EARLIER THAN / NO LATER THAN
- 가정과 일정 / New work, 리스크 , Force majeure, labor, effort
- 리스크와 일정 ; 기지와 미지 / 불확실한 이벤트와 조건 / 리스크 분석은 완성,시간,비용 영향을 줌
스케줄 네트워크 분석 ; 가장 빠르거나 느린 일정을 찾기 위한 분석
- Float ; 지연될 수 있는 기회
- Free Float ; 후행활동의 얼리 스타트를 지연시키 않으면서, 활동이 지연될 수 있는 것
- Total Float ; 프로젝트 완성을 지연시키지 않으면서, 활동이 지연될 수 있는 것
- Project Float ; 고객의 기대 날짜를 지연시키지 않으면서, 프로젝트가 지연될 수 있는 것
- Critical Path/주경로 ; 가장 긴 경로 -> 지연될 수 없는 Path / 주 경로 이외의 활동은 지연이 가능하다
- 네트워크에서 -> Critical Path -> Foward Pass -> Backward Pass 를 작성함
- Flaot = Late Finish - Ealry Finish = Late Start - Early Start
프로젝트 시뮬레이션 (What if 시나리오 분석)
- 몬테카를로 분석 ; 멀티플 워크 패키지 듀레이션을 계산해줌
- 서로다른 것을 활용한다 ; 가정들, 제약조건, 리스크, 이슈, 확률분포도
지속시간 단축하기
- 마일스톤 차트 / 바 차트 /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등이 있는데도 요구를 받을 수 있음
- Crsahing ; 사람을 더 투입 / 비용이 늘고,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
- Fast Tacking ; 페이스가 겹칠 수 있게 함 / Adds risk & Overlap
- 자원 레벨링 휴리스틱 - 평준화를 하는 것 / 자원 스무딩 - 평탄화 크리티컬 패스가 아닌 경우에만
애자일 Release Planning ; 높은 수준의 릴리즈 일정 타임라인
- 3-6개월 정도
- 프로덕트 로드맵과 비전 / 이터레이션의 횟수를 정한다 /
- 프로덕트 비전과 릴리즈 플랜 ; 릴리즈 플랜에 따라, Iteration Plan에 반영
프로젝트 스케줄 통제 ; 스케줄 통제, 통합변경사항 통제, 스케줄 편차 확인, 스케줄 업데이트 등
- 인풋; PM 계획. 프로젝트 문서, WPD, OPA
- T&T ; 데이터 분석, 크리티컬 패스 메서드 , PMIS, 리소스 최적화, 리드 앤 래그, 스케줄 비교
- 아웃풋 ; WPI, 일정 예측, q변경 요청사항, PM 계획, 프로젝트 문서 업데이트
- 통합 변경 통제 ; 일정 변경 통제, 현재 상태 변경, 예비시간 재측정, 변경사항 관리 등
- 애자일 스케줄 통제 ; 전달된 일의 양과, 완료된 일의 양을 비교(스토리포인트와 비교), restrospective,
우선순위 재구축, 속도 조절, 변경사항 관리
프로젝트 성과 측정하기 ;
- 획득가치관리(Earned value Management) / 스케줄 편차 / 스케줄 성과 지표 / TCPI To-complete Performance Index
- Corrective 액션 ; 시정조치, 근본 분석, 회복 조치 등
- Burndown 차트 ; 소멸 차트, 어떻게 해야 듀데이트를 맞출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