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PU 성능을 높이고자 한다면 아래가 중요하겠다.
- 병렬처리가 가능한 설계
- 병렬처리 기법 적용
이 중, 병렬처리 기법 적용을 통한 CPU 성능 향상이란,
명령어 파이프라이닝이 잘 되고,
수퍼스칼라 기법이 잘 되는 것을 말할 것이다.
결국 파이프라이닝을 뭔가 쉽게 해야할 텐데, 그 방법이란 무엇일까?
ISA ; instruction set architecture = 명령어 집합 / 명령어 집합 구조
- CPU 제조사마다 다름
- CISC - 인텔 AMD / RISC - ARM 애플 - 오픈소스
CISC ;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가변길이 명령어 사용
-> 다양한 명령어 사용 -> 적은 명령어로 실행가능
-> 사용 메모리 적음
CISC 단점 ;
- 명령어의 크기와 실행 시간이 일정 X
- 명령어 하나 실행할 때 클럭 주기 다수 필요
- 명령어 파이프라이닝에 상대적으로 불리
RISC ;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고정길이의 규격화된 명령어만 사용
-> 파이프라이닝 쉬움
- 메모리 접근 명령어를 제한하는 대신 레지스터 이용 다수
- 레지스터 개수도 더 많음
반응형
'IT 공부 > 컴퓨터구조(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 7 보조기억장치 (0) | 2025.02.17 |
---|---|
컴퓨터 구조 6 RAM (0) | 2025.02.15 |
컴퓨터 구조 4 CPU 성능향상 기법_1 (0) | 2025.02.08 |
컴퓨터 구조 3 레지스터와 인터럽트 (0) | 2025.02.04 |
컴퓨터 구조 2 CPU - ALU & 제어장치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