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구조
- 동작 중심으로 볼 때 구성품: 데이터 / 명령어
- 부품 중심으로 볼 때 구성품: CPU / 메모리 / 보조기억장치 / 입출력장치
CPU란? ALU / 레지스터 / 제어장치로 구성
메모리란? 프로그램 명령어 & 데이터를 저장 / 주소의 개념
보조기억장치란? 메모리는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소실됨 / 메모리를 보조하기 위한 기억장치
메인보드란? CPU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마더보드 / 시스템 버스로 각 부품 연결
시스템버스란? 주소버스/ 데이터버스 / 제어 버스로 구성
데이터 -> 숫자는? 문자는?
숫자
-> 2의 보수 개념 -> 빼기 연산을 더하기로 처리 가능
문자
-> 아스키 (7비트로 표현)
-> 확장 아스키 (8비트)
-> EUC - KR - 완성형 인코딩 방식 (한 글자에 2바이트 = 16비트 = 16자리 = 4*2^4(16진수 4자리))
-> 유니코드 (1바이트~4바이트)
명령어
고급언어 vs 저급언어
저급언어 - 기계어 / 어셈블리어
고급언어 - 인터프리트 / 컴파일
-> 컴파일 -> 목적코드로 컴파일 -> 실행파일(링킹 - 목적코드 등을 연결)
-> 인터프리트 -> 한 줄씩 실행
일반적으로 컴파일 언어가 빠름 -> 목적코드로 바꿔놓고 한 번에 실행하기 때문
명령어
연산코드 + 오퍼랜드로 구성
연산코드 종류 ; 데이터 전송 / 산술논리연산 / 제어흐름변경 / 입출력제어
주소지정 방식 ; 데이터를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오퍼랜드에 주소를 지정한다
-> 즉시 주소 지정방식 ; 데이터를 직접 표시 / 빠름 / 표현할 데이터 크기 제한
-> 직접 주소 지정방식 ; 유효 주소를 직접 표시 / 표현할 유효 주소에 제한
-> 간접 주소 지정방식 ; 유효 주소를 가리키는 주소를 표시 / 표현할 수 있는 주소 범위 확대
-> 레지스터 주소 지정방식 ; CPU 내부의 레지스터를 표시 / 표현할 수 있는 레지스터 제한
-> 레스터디 간접 주소 지정방식 ; 레지스터에 유효주소를 저장하여 레지스터 표시
'IT 공부 > 컴퓨터구조(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 6 RAM (0) | 2025.02.15 |
---|---|
컴퓨터 구조 5 CISC / RISC (0) | 2025.02.13 |
컴퓨터 구조 4 CPU 성능향상 기법_1 (0) | 2025.02.08 |
컴퓨터 구조 3 레지스터와 인터럽트 (0) | 2025.02.04 |
컴퓨터 구조 2 CPU - ALU & 제어장치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