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획이야기

랜턴의 서비스 기획 이야기 12

by 랜턴K 2025. 2. 1.
반응형

공부와 기획, 업무에 기름칠하기 

 

10월부터 디자인 매터리얼을 꾸준히 탐독했고,

12월~1월 사이에는 HTML / CSS를 공부했으며, 

2~3월  사이에는 SQL과 RDB에 대한 공부를,

4월부터는 AWS 중심으로 클라우드 공부를 하게 되었다. 

 

좋은 PM 이전에, 내가 답답한 팀원이 되기 싫었기 때문이었다.

나 스스로에게도  답답한 게 싫었고,

협력사 개발자 및 디자이너들에게는 더더욱 싫었다. 

공부를 하면 할 수록, 확실히 커뮤니케이션이 가속화되었다.

개발자/디자이너들은 어려운 상황에 대해 장황하게 설명하는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었다. 

나는 훨씬 명료하게, 아규먼트가 최소화될 수 있는 방향으로 요구사항을 정리할 수 있었다. 

동시에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범위 역시 엄청나게 확장되었다. 

개발자/디자이너들이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도 괜찮다는 안전지대가 생긴 듯 했다. 

내가 이해하지 못할까봐, 오해할까봐 얘기를 피하는 일은 전혀 없다고 느꼈다. 

가끔씩은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비전문 인력인 나에게 그들의 언어를  날 것으로 쏟아내곤 했다. 

반대로 나 역시 새로운 개념과 비전을 그대로 쏟아내도 되었다.

왜 어렵게 해야하는가에 대한 비즈니스 논리만으로 그들을 설득할 수 있었다.  


RDB와 컨텐츠 구조 및 비전 수립 

 

사이트에 컨텐츠를 채워넣을 계획 역시 이 즈음부터 세우기 시작했다. 

특히, 이 지점에서 나의 관심도가 크게 집중되있기도 했다.

왜냐하면, 기존 사이트의 컨텐츠 관리 방식이 엉망이었기 때문이었다.

다국어마다 페이지를 일일히 생성하는 방식으로 개발되었으며

별도 DB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HTML에 네이티브로 붙어 있었기 때문에

사소한 수정에도 무조건 개발자 공수가 필요했다. 

또 같은 이유로, 컨텐츠 마이그레이션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아마도? 일반적으로, 웹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생성한다면,

생성에 관련한 페이지 또는 툴이 별도로 있어야 했다.

하지만, 그것까지 개발하기에는 아래의 문제가 있었다. 

1. 비용과 시간 여유가 없었으며

2. 생성 주기 고려 시, 투자에 대한 효용성의 의문이 드는 문제가 있었고

3. 2번 문제가 얽혀서, 컨텐츠 생성 업체의 트레이닝 및 역량 유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별도의 컨텐츠 툴 개발은 시작부터 고려조차 하지 않았다. 

 

사이트에 들어가는 컨텐츠는 아래 같은 특징을 갖고 있었다.

- 지속적으로 컨텐츠가 생성 (단 생성주기가 빈번하지는 않음)

- ToC에서 컨텐츠가 조회 / 관리 

- 다국어 지원 필요  

- 텍스트 / 이미지 / 비디오 / 사운드 등 

따라서, 나의 전략은 규격화된 틀을 생성 -> 컨텐츠 RDB화에 포커싱을 맞추었다.

특히, RDB로 할 경우, CSV->EXCEL 임포트가 매우 쉬웠으므로

이는 위의 모든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기도 했다. 

더불어 이렇게 할 경우, 컨텐츠 마이그레이션에

참여할 수 있는 인원이 대폭 늘어나는 효과까지 있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내가 개발하고 있는 사이트 역시 다른 사이트에 편입될 가능성도 

당시 나는 고려하고 있었기 때문에, 반드시 이런 구조가 필요했다. 

 

이미 나온 컨셉 화면을 기준으로,

사이트 개발업체 - 컨텐츠 저작업체 - 그리고 나 셋이서

컨텐츠 화면과 데이터 구조를 구체화하기 위한 지속 협의를 거쳤다. 

업체는 어떻게 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고객에게 또는 개발자에게 편한가/가능한가를 중점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나는 어떻게 사이트 화면을 통해서 DB 구조에 대한 직관성을 보여줄 수 있는가를 고민했다.

그래야, 개발도구가 별도로 없을 때의 문제,

개발업체와 컨텐츠업체 간의 커뮤니케이션 사일로 문제,

그리고 우리 회사 내부자끼리의 지식 사일로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5월 정도가 되었을 때, 우리는 새롭게 런칭될 사이트에 

어떻게 컨텐츠가 올라갈지를 90% 고정지을 수 있었다.

동시에, 마이그레이션을 포기하고, 새로운 포대에 새로운 술 역할의 컨텐츠 생성을 진행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