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인사이트14

OpenAI Sora 발표와 비디오 기획 & IT 서비스에 끼치는 영향 예상 (내가 맡은 업무는 아니었지만) 운이 좋게도 대기업의 마케팅 (엄밀히 말하면 마케팅은 아닌데,)영상 제작 과정을 어깨 너머로 볼 기회가 종종 있었다.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경우, 또 발주된 영상이 대량인 경우 비디오 크리에이터의 업무는 분화된다. 콘티 담당, 연출 담당, 촬영 담당, 편집 담당 등, 콘베이어 벨트를 갖춘 공장식으로 비디오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각 단계마다 기획 역할을 하는 사람의 분화가 두드러질 수 있다. 콘티 담당도 기획자의 역할을 하고, 촬영 사전, 연출과의 협의에서도 기획자 롤플레잉이 일어나며, 촬영하는 중에도 환경에 맞는 각 요소의 재기획이 리얼 타임으로 발생한다. FX를 추가하는 편집 과정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런 분화는 실사 촬영 뿐 아니라, 디지털 영상 제작도 마.. 2024. 2. 19.
OpenAI Sora 발표와 영상 크리에이터 업무 방식 변화 예상 컨텐츠 기획자로써, 이번 OpenAI의 Sora 발표를 참 재밌게 보았다. 여느 업계 종사자가 그러하듯이, 나 역시 앞으로 크리에이터 시장의 향후 변화와 크리에이터들이 어떻게 살아남으며, 업무가 어떻게 변화할 지 상상해보았다. (엄밀히 말하면, 나는 크리에이터 업계의 생태게 변화와 다소 동떨어있긴 하지만...) 크리에이터를 완전히 대체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나는 No라고 생각한다. LLM의 경우와 다르게, 이미지와 영상 분야는 크리에이터의 내심적 의사와 유사한 아웃풋의 가짓수가 너무 많다. 때문에, 현재 LLM 그리고 Dall-E 같은 이미지 생성형 AI가 그러하듯이, (심지어, 앞으로 기술이 더 진보하더라도) 비디오 생성형 AI 역시, 전문 크리에이터의 보조적 역할에 멈추게 될 것이라고 본다. 다음 .. 2024. 2. 18.
OpenAI Sora 발표와 영상 크리에이터 시장 영향 예상 지난 금요일 OpenAI에서 비디오 Gen AI 인 Sora가 발표되었다. 관심 있는 분들는 밑의 링크에서 확인해보면 좋을 거 같다. 제작된 일부 레퍼런스 영상들과 구현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 또한 함께 작성되어 있다. https://openai.com/sora OpenAI의 결과물 자체는 현시점에서도 꽤나 놀랍다. AI의 고퀄리티 뿐 아니라 각 피사체의 물리적으로 자연스러운 동작까지 이질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비즈니스 상품으로써 충준한 가치를 증명했다고 본다. 그렇다면 이쯤에서, 생성형 AI가 비디오 제작자와 기획 업무를 완전히 대체할 자연재해인가? 내 생각은 그렇지 않다이다. 오히려 생성형AI가 크리에이터의 업무 영역을 넓힐 것이고 영상 제작 시장 또한 보다 경쟁적으로 만들어져서 전체 파이가 커질 것.. 2024. 2. 18.
빅테크의 Ai를 등에 업은 로봇, HW Legacy 업체는 터미네이터의 진격을 막을 수 있을까 테슬라봇이 최초로 퍼블릭에 공개 되었을 때, 세간의 반응은 냉혹했다. 테슬라봇은 아장아장 걸음걸이를 이어가며 넘어질 듯 안 넘어질 듯의 횡보를 보여주었지만, 주가는 (기억이 맞다면 아마도) 이를 비웃는 듯이 고꾸라졌었다 국평오라는 단어를 부모님은 싫어하시는 모양이지만, 나는 일련의 사태를 지켜보며 국평오가 또 증명되었구나 싶었다. 당시에도 유튜브 영상 및 일론 머스크의 설명에 대한 기사를 찾아보면서 개인적인 경외감을 감출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벤트 직후에, 우연찮게 한국로봇연구원의 박사가 특정 커뮤니티 사이트에 쓴 글을 읽었는데, 그 역시 같은 의견이었다. 그 때만해도 로봇교육업체에서 아르바이트와 로봇 제어 프로젝트를 병행하던 동생과도 나름 긴 토의를 할 수 있었는데, 역시나 우리가 같은 의견임을 확.. 2024. 2. 10.
RAG와 레거시 기업 메뉴스크립트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23년 3월, ChatGPT3에서 우리가 느낀 LLM의 단점 중 하나는 ChatGPT3의 학습데이터가 21년까지 뿐이었기 때문에, 최신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못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즉, 컨티뉴얼 러닝 - 지속학습이 불가능하다가 실제 비즈니스 필드에서 적용되기 어려운 난점이었던 것이죠 컨티뉴얼 러닝의 문제는 아예 언어 모델의 패러다임이 바뀌지 않는 한 원리적으로 정면에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이에, 여러 우회적인 해결책들이 제시되었는데, 그 중 가장 현실적이고 효용성 있는 생각되는 게 'RAG' 입니다. 물론, RAG에 대해서는 전부터 셀프 스터디를 통해 대략적인 내용은 꿰고 있었습니다만 작년 회사 내부적으로 진행한 NCP 설명회를 통해 좀 더 자세한 엔지니어들의 설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 2024. 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