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성 향상글쓰기 방법을 살펴보기 전,
제이콥 닐슨의
'사용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10가지 사용성 원칙'을 먼저 검토해보고
글쓰기에 적합하게 적용해보려 한다
1 시스템 상태의 시각화
2 시스템과 현실세계의 일치
3 사용자 제어와 자유도
4 일관성과 표준
5 에러 방지
6 기억보다 직관
7 사용의 융통성과 효율성
8 심미성 있는 간결한 디자인
9 명확한 에러표시
10 도움말 그리고 문서화
위의 10가지 중에서
1 / 2 / 5 / 6 / 8 / 9 가 글쓰기에 연관이 있어 보이고
나머지 4개중, 4 / 10 은 앞선 보이스 앤 톤 가이드와 내부적으로 이를 준수할 수 있는
교육 및 프로세스로 보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위의 6가지에 대해 순차적으로 생각을 풀어보겠다
1 시스템 상태의 시각화
화면설계단계에서는 기능과 데이터 위주로, 디자인이 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필요한 것이 아니라 필수적인 것만 개발된다
1번의 시스템 상태 시각화는
필수적인 것만 설계된 화면에서, 빠져있지만 필요한 게 무엇일지 찾아내는
도구를 제시한다고 생각한다
가령, 사용자 여정 중 사용자가 어디 쯤 와있는 지 알려주는 것이 대표적이다
어떤 경우 프로그레스 바로 대체될 수 도 있고,
페이지를 넘나들어야 한다면, IA를 조회할 수 있게 GNB를 손 볼 수도 있다.
2 시스템과 실세계 일치
UX라이팅의 인터페이스란 언어다.
실세계에서 사용할 법한 용어와 말투로 적어야 한다
이 때, 실세계의 언어는 서비스가 어떤 사용자와 어떤 환경에서 사용되느냐에 따라 다르다
가령 법조인들끼리만 쓰는 서비스이면, 실세계 언어는 법률 용어가 될 것이다.
하지만 변호사 중개 서비스라면, 언어는 일반인 관점에서 맞춰져야 할 것이다
5 에러 방지
1번과 똑같이, 빠져있지만 필요한 게 무엇일지 찾아내는
도구를 제시하는 원칙이 될 수 있겠다.
안내문을 제공하거나,
어떤 실수를 했는지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빠른 정정을 이끌어낼 수 있다.
배민의 주소를 확인해주는 UX나,
계정 생성시, 비밀번호 규칙을 알려주는 UX가 대표적이다
6 기억보다 직관
직관을 사용하라는 의미는, 사용자에게 인지 부하를 줄여야 함을 의미한다
간결한 문구를 사용하고
핵심 텍스트를 강조하여, 가급적 안읽어도 될 부가설명을 읽을 사용자 부하를 줄이자
가령, 특정 텍스트의 크기를 키우거나, 글씨체에 변화를 주거나
UI를 별도 생성하여 색을 입히는 방법이 있겠다.
예컨데, 확인/취소 등은 사람들이 읽지도 않고
색깔이나 위치만 보고 누르게 만들 수 있다
부가적인 설명을 동적 어플리케이션이나 별도 페이지로 숨기는 것도 방법이다
텍스트가 있으면 사용자는 읽어야 되나 부담을 느낀다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어디로 가세요라고 링크가 걸린 UI 또는 별도 텍스트를 만든다
8 심미성 있는 간결한 디자인
텍스트도 디자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세계에서는
텍스트를 감싸는 도형을 만들 수도,
테두리나 글씨체를 변경할 수도,
크기와 색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목표는 사용자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함이고,
이는 결국 읽어야만 하는 텍스트만을 남기는 것으로 귀결된다.
핵심 글자에만 특별한 디자인을 입힌다
'충주 고구마 축제'를 UX 라이팅한다고 했을 때,
핵심 단어인 고구마만 특별하게 쓰는 것이다.
축제는 부가적인 단어다.
충주라는 단어는 '고구마? 어디서 하는데'하는 식으로
사용자가 흥미가 생기면 기꺼이 찾아볼 단어다
9 명확한 에러 표시
6번과 이어지는 원칙이다
에러 표시의 명확함 뿐 아니라 해결책도 명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이따금씩, 시스템 오류에 대한 팝업으로,
인프라에 문제가 있다는 오류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띄워주는 경우가 있다.
개발자 입장에서 이런 팝업은 디버깅을 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황당할 수 밖에 없으며
기존의 실수를 반복하여 똑같은 팝업창을 몇 번 바라보게 될 지 모른다
'기획 > UX 라이팅(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라이팅 13 좋은 한 줄 문장 (6) | 2024.10.13 |
---|---|
UX 라이팅 12 핵심이 잘 보이는 글쓰기 (1) | 2024.10.13 |
UX 라이팅 10 보이스 앤 톤 디자인 (1) | 2024.10.13 |
UX 라이팅 9 좋은 대화를 만드는 법 (0) | 2024.10.13 |
UX 라이팅 8 사용자와 대화하자 (3) | 2024.10.12 |